VC

[번역] 19살에 VC로 일하며 배운 55가지

이 글을 쓴 이유

블루포인트파트너스에서의 6개월 간의 인턴생활을 정리하던 중, Medium에서 VC에서 일하면서 느낀 점에 대해 적은 글을 찾았다.

공감이 되는 부분이 많아 공부 차원에서 번역해보았고, VC에 대해 궁금한 사람들에게 약간의 도움이 되길 바란다.

전문을 그대로 직역하지 않고 중요하다고 느낀 내용을 의역했기 때문에 내용이 다소 다를 수 있다. 원문이 궁금하다면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VC 생태계 전반에 대해 배운점

  1. 이 일은 매우 구조화되지 않았다.
    • 나는 일하기 전에 VC일에 대해 어느 정도 예상은 했지만 이 정도 일 줄은 몰랐다.
    • 쉽게 말하면, 물 속에 가라앉거나 헤엄치거나 둘 중 하나일 것이다.
  2. VC의 파이프라인 = 네트워크 + 판단 + 이기는 것
    • 벤처캐피탈은 기본적으로 3가지다.
      1. 투자 기회를 찾는 것
      2. 좋은 기업을 선별하는 것
      3. 창업자에게 돈을 가져가라고 설득하는 것
    • VC로서 당신은 회사에 도움이 되는 가치를 더해주거나, 창업자들이 힘든 시기에 기대어 울 수 있는 사람으로서 유명해져야한다.
  3. 좋은 질문을 하는 법을 배우게 된다.
    • 원하는 답을 얻기 위해서는 정확한 질문을 하는게 매우 중요하다.
    • 중요한 질문을 하려면, 모르는 것을 인정하고, 이해한 것을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들어라.
  4. 항상 “왜”에 대해 질문하라.
    • 더이상 물어볼 것이 없을 때까지 깊게 물어 보아라.
  5. 회의적으로 생각하라.
    • 모든 들은 것을 그대로 믿지 않길 바란다.
    • 냉소주의자가 되고 싶지는 않지만, 불행히도 이 규칙은 삶에도 적용된다.
  6. strong opinions, weakly held
    • 겁내지 말고 뻔뻔해져라. 다른 사람들과 토론하고 생각을 공유하는 일에 뛰어들자.
    • 예의없이 굴라는 말은 아니다. 성장하려는 마인드셋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기꺼이 배우는 마음을 갖자.
  7. consumer-tech 비즈니스는 1. 소셜 2.거래 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8. 소셜 제품에 대한 4가지 프레임워크 Utility : 실제 문제를 해결하는 기능성이 있는가? Narcissism : 사람들이 갖고 있는 나르시즘을 자극할 수 있는가? Entertaining : 즐거운 것인가? Community : 사람들이 열광하는 커뮤니티가 있는가?
  9. 소비자 타겟 소셜 제품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진화한다.
    • 기능 → 플랫폼 → 생태계
  10. consumer marketplace에 대한 개인적 프레임 워크 긍정적인 규모의 경제 끝내주는 브랜딩 강력한 커뮤니티 훌륭한 SEO
  11. 좋은 사람이 되자.
    • 간단한 조언이지만, 생각보다 VC 커뮤니티에서 쉽게 찾을 수 없는 특성이다. 만약 너가 좋은 사람이라면, 이는 너의 강점이 될 것이다.
  12. Transparency + Honesty + Empathy + Integrity를 갖춘 사람과 일하자.
    • 자신도 같은 기준에 붙들어 두자.
  13. 12번의 핵심 가치에 지적 호기심, 열정, 하드-워크, 허슬, 자각, 분석적 능력 등이 추가되면 좋다.
  14. 아무도 자기가 하고 있는 것에 대해 정확히 모른다.
    • 내가 만났던 많은 성공한 파트너들은 그들의 기록을 바탕으로 미래를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 하지만 대화해봤을때 그들은 나만큼 많은 수수께끼를 갖고 있다고 생각된다.
  15. 오픈마인드를 갖추자.
    • 회사를 볼 때 선입견을 없애기 위해 최선을 다하자.
    • 처음에 장난감처럼 보이는 제품이더라도 과소평가 하지말자.
  16. 처음의 비기너 마인드셋은 아이디어에 대해 분석적으로 접근하게끔 변한다.
  17. VC는 서비스 비즈니스이다. (세일즈 기반)
    • VC 는 창업자들에게 자기 자신과 자기가 속해 있는 하우스를 팔아야 한다.
    • VC는 잠재적 인재, 유저, 투자가 자신의 포트폴리오 회사를 팔아야 한다.
    • 또. LP 들이 우리 펀드에 투자하게끔 팔아야 한다.
  18. 벤처 캐피탈에 들어가고 싶은 사람을 위한 꿀팁 : VC 펀드가 새 펀드를 결성하면, 이어서 채용을 하게될 가능성이 높다.
  19. VC일은 당신이 경쟁적인 사람이라면 즐거울 것이다. 반대의 경우 아니다.
  20. 5년동안 이야기해 본 적 없는 사람들이 나에게 연락하기 시작했다.
    • 요즘은 누구나 앱을 만드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 였다.
  21. 만나고 싶은 사람이 있는 곳에서 시간을 보내라.
  22. 자기만의 퍼스널 브랜드를 만들어라.
    • 온라인 활동으로 시작해라. 알다 시피 사람들이 웹상에서 너를 쉽게 찾을 수 있어야 한다. 찾는가기 보다는 오히려 어디에서나 너를 발견할 수 있어야 한다. 나는 트위터에서 3년 동안 내 온라인 페르소나를 만들 었던 것이 도움이 되었다.
  23. VC는 피드백 주기가 굉장히 길다.
    • 파트너, 포트폴리오사 창업자들에게서 간혹 받는 정성적인 피드백외에는 너가 잘하고 있는지 알기 어렵다.
    • 아무도 너에게 성공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주지 않는다. 아무도 모르기 때문이다.
  24. VC와 founder는 모두 실패가 디폴트다.
  25. 초기 단계에 투자하는 VC는 95%가 팀, 제품, 시장을 본다. 숫자와 데이터는 나머지 5%다.
  26. 절대로 다른 사람이 너와 보낸 시간을 후회하지 않도록 해라
  27. 구설수에 오르는 것을 피해라.
    • 샌프란시스코와와 뉴욕은 굉장히 밀도 있으며, 소문이 빨리 퍼진다.
  28. 첫 만남을 창업자가 주도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해라.(상호 동의 방식)
  29. 소개를 부탁할 때, 연결해준 사람이 쉽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해라.
    • 예를들어, 이메일 작성할 때 포워딩하기 쉽게 하는 것들 말이다.
  30. VC에서 일하게 된다면 인간 심리, 사회구조, 권력의 관계, 설득의 기술에 대해 많이 느끼게 된다.
    • 다른 사람에게 답장이나 미팅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메세지
    • 어떤 사람에게 제일 첩근하는 것이 좋은가
  31. VC는 일을 하며 굉장히 많은 사람을 만난다.
    • 1년동안 아마도 수천명은 만났을 것이다.
  32. 주변을 가능한 최고의 사람들로 채워라.
    • “You are who you hang out with. Choose very wisely”

33번~40번은 창업자들에게, 41번~55번은 주니어 심사역들에게 하는 제안이다. 한국과는 다소 다른 점(트위터, 도구들)도 있기 때문에 참고만 하기 바란다


창업자들에게 하는 제안

  1. 슬픈 이야기지만, 대부분의 VC들은 당신을 만나고 난 첫 5분 후부터 지루해할 것이다. 시간을 낭비하지 말고 당신의 사업이 다른 사업보다 우수한 점을 강조하라.
  2. VC들이 스타트업에 묻는 몇 가지 예시 질문들이 있다.
  • 사업 배경과 팀 – 대표님이 우리 사업을 시작하게 된 이유가 뭔가요? 공동 창업자를 어떻게 만났나요?
  • traction(지표)와 실행력 –
    소셜 제품 : 활성 유저의 수(DAU/WAU/MAU), 리텐션,
    인게이지먼트 커머스 : (참조) https://versionone.vc/marketplaces-guide-ed2/
  1. 주니어 심사역에게 답장하라.
  • 주니어 심사역과 친해지는 것이 생각보다 효과가 좋을 수 있다.
  1. VC들이 회사룰 건너뛰더라도 답장하라.
  • 그리고 투자가 엎어졌더라도 쓸데없이 공격적일 필요 없다.
  • 오히려, 그들이 틀렸음을 증명해서 보여주자.
  1. 주니어 심사역들에게도 많이 공유해라.
  2. 너 자신과 하고 있는 사업에 자신감을 가져라.

39. 투자가들이 우리 회사에 대해 레퍼런스 체크를 하는 것 처럼 심사역들에 대한 레퍼런스 체크를 해보자.

  • 다음 몇가지를 확인해보면 좋다.
    1. 퇴근 투자 내역
    2. 포트폴리오 중 잘 안된 것
    3. 심사역이 거른 회사
  • 이건 어떤 VC가 도움이 될 만한지 알아내는데 중요한 질문들이지만,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확인하지 않는 것들을 보면 놀랍다.

40. 아래 트윗을 읽어보고, 정말 당신의 회사와 최종 목표를 확인해봐라.

  • 모든 사람들이 VC 투자를 받을 필요는 없으며, 부트스트래핑이 적절한 방법일 수 있다.


주니어 심사역들에게 하는 제안

41. 트위터를 사용해라

  • 나는 성인이 된 이후 트위터를 통해 대부분의 네트워크를 만들었으며, 기술 분야에서 일할 거라면 트위터는 유용하다.

42. 하지만 딜 발굴에 트위터를 사용하지는 말아라.

  • 반응이 좋은 소비자 앱은 VC들 사이에서 회자되기 마련이다.
  • 그러다보면 일반 사용자들 사이에서 얼마나 인기 있는지와 무관하게 (Hyped) 2. 다른 VC를 의식해서 거래에 뛰어들게 되는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FOMO

43. 회사를 보는 자신만의 관점을 세워라.

  • 동료, 파트너, 회사의 의견에 맹목적으로 동의하기 보다 자기만의 질문을 하자.
  • 시니어 VC에게 조언을 구하기 전에 먼저 질문을 세워본 후 자신의 관점과 비교해보자.

44. 거래하려 하지마라.

  • 창업자들은 투자자가 실제로 관심이 있는지, 아니면 그저 딜플로우를 얻으려하는지 구별할 수 있다.
  • 진정성 있는 태도로 임하자.

45. 내가 더 일찍 실행했다면 좋았을 시간관리 팁

  • 작업, 프로젝트에 방해되는 시간을 차단하고, 그 차단이 반복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한다.
  • 받은편지함을 잘 관리한다 : 잘 관리하지 못하면 모든 것이 통제 불능으로 돌아간다.

46. 이메일 관리법. 모든 뉴스레터에 필터를 걸자.

47. 얼리어답터의 이메일 관리법

  • 베타 테스트, 새로운 앱 테스트 용 이메일을 만든다.
  • Gmail 필터를 잘 설정한다.

48. 내가 사용하는 도구들 :

  • Clearbit connect
  • Rapportive
  • Voila Norbert
  • Streak
  • Calendly
  • Google calendar
  • Outlook IOS

49. 내가 읽는 기술 뉴스레터 :

  • Strictly VC
  • Launch Ticker
  • Ben Thompson’s Stratechery
  • The Information
  • CB Insights
  • Mattermark Daily

50. 회의 형식에 대한 제안

  • 15분: 전화 – 짧은 대화나 조언을 요구하는 내용
    30분 : 화상회의 – 첫 소개, 투자할 가능성이 있는 회사
    1시간 : 대면회의 – 첫 만남 이후 미팅

51. 창업가들을 존경하는 마음으로 대하자.

  • 회사가 가진 힘의 역동성에 자신이 바꾸지 않도록 조심해라. 겸손과 당신의 가치에 충실하라.
  • VC로서의 당신은 도움, 조언, 의지할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한다. 창업자들 보다 주목받거나 회사를 운영하려 하지 말라.

52. 화법은 직설적으로 정직하게, 톤은 겸손하게

  • 구체적인 근거로 피드백을 주고, 일반적인 패스 응답보다는 왜 왜 회사를 패스하기로 했는지 설명해라

53. “가장 큰 걱정거리가 뭐죠?” 라는 질문

  • VC들은 공동투자할 수 있는 기회나 포트폴리오 회사에 대해 과장해서 말할 것이고, 가장 큰 투자 리스크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창업자들에 대해서는, 당신도 그 질문에 잘 대답할 수 있다면 자각과 사려심을 불러일으킬 것이라 생각한다.
  1. 간혹 투자자들이 주로 하는 질문에 능숙하게 대답하는 창업자들이 있다.
  • 하지만 대답을 잘한다는 것이 그들이 똑똑하거나 회사가 잘 하고 있다는 말은 아니다.
  • 그들이 정말 똑똑한 건지, 아니면 올바른 대답을 잘하는 것인지 구분 할 수 있어야 한다.
  1. 마지막으로, VC는 여러분들이 상상하는 것만큼 멋진 일이 아니다. 자가용 비행기와 요트 파티는 없다. 오히려 사무실이나 카페, 이메일에 답장하는 일이 많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