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인회관

내가 매일 달려달려를 외치는 이유

#골짜기에서 올라오다

올 여름. 회사는 이미 망했어야 했다.

7월 모든 지표가 바닥을 쳤고, 지금 사업을 접어야 남아있는 직원들 퇴직급여를 줄 수 있는 상황이었다. 7월 말 6년간 회사를 함께해온 운영이사님에게 솔직하게 얘기했다. ’이제 우리 그만해야할 것 같다’

그리고 그날 저녁 진우형에게 전화해서 ‘나 멘탈이 안좋으니,,’ 까지 얘기했는데, 진우형이 ‘그럼 술 먹자!’라고 얘기하더라. 사실 ‘멘탈이 안좋으니 형이랑 술도 안먹을거고, 당분간 혼자 박혀서 멘탈 회복을 하고싶다’라고 얘기하려고 했는데.

그리고 그날 밤 진우형과 무슨 대화를 나눴는데, 대화 내용은 잘 기억이 안난다. 그러고 집에 들어와 운영이사님에게 다시 카톡을 보냈다.

‘잠깐 멘탈이 나약해졌던 것 같다. 조바심이 들고 조급했다. 내일부터 달릴거니 나약한 소리 했던 건 잊어달라’

그만하자고 얘기했던 당일 밤, 그 말 취소를 내뱉었다.

이후 슈퍼멤버스는 운영이사님께 모두 맡기고, 6월 말 입사한 수찬이와 둘이서 ‘우리가 잘 만들어놓은 이 슈퍼차트로, 죽을 결심으로 끝까지 한번 달려보자’라고 전의를 다졌다. 이후 매출이 8월 2배, 9월 2배, 11월 2배, 12월 2배를 달성(5배 목표) 매월 폭풍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6월, 7월 바닥을 친 지표. 하지만 잘 성장해서 12월은 이미 11월의 2배를 찍어놨고, 5배 목표를 향해 달리고 있다.

10월부터 월 bep를 달성했고 그러자 한달 벌어 한달 살던 구조에서 회사에 현금이 돌기 시작했다.

내가 올해 9월, 그러니 월 손익분기를 달성하기 한달 전 적은 일기다.

9월도 절박했고, bep를 넘긴 10월도 절박했고, 11월도, 12월도 아직도 절박하다.

올해 5월부터 미친 결정들을 이어가기로 결심했고, 월 bep를 달성하기 전 부터 9월 성장세를 보고 앞으로 더 성장하려면 사람에 대해 투자를 해야한다고 생각했다.

올해 5월 내가 했던 결심 ‘한번도 위험한 도전을 하지 않은 게 돌이켜보면 가장 위험한 선택이었다’

이후 사람을 미친듯이 뽑기 시작해서, 6월 6명에서 11월 20명까지 늘어났다.

그리고 골짜기에서 벗어나자 숨통이 트이면서 우울증도 자연스레 치유되었다.

정신과 의사는 내가 통제할 수 없는 외부 요인에 의한 약한 우울증이고, 환자분은 정신력이 강해서 사업이 다시 올라오면 그 때 다 나을거다 라고 얘기했다.

#어떻게 이 성장과정을 계속 이어갈까

12월도 성장세를 계속 잘 이어가고 있고 회사에는 현금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슈퍼차트를 사용하는 광고주들의 광고 성과도 너무 잘나고 있어, 매월 2배 성장을 할 때 전월 결제 광고주들이 다음 달 결제로 대부분 이어진다.

8월부터 고속성장을 이어올 수 있었던 이유는 하나다. 바로 ‘절박함’이다. ‘달리기를 멈추면 죽는다!’ 1) 살아남자! → 2) 달리자! → 3) 성장하자! 이 세 단계의 무한 반복이었다.

여기서 살아남자! 가 멈추는 순간 회사의 성장은 멈춘다고 생각했다.

우리는 이제 겨우 위대한항로를 벗어나 신세계로 막 들어왔다. 여기에는 우리보다 훨씬 강한, 더 단단한, 더 큰, 더 열심히하는 함대들이 득실득실한 바다다.

여기서도 살아남아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 달려야하고, 그러기 위해서 성장해야한다.

#여유있는 자금은 모두 성장으로 투자한다

고속성장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절박함’을 항상 유지해야 한다. 그래서 아래 다섯가지의 결심을 했다.

  1. 절박한 마음 유지 – 7월 말 회사는 망한 상태다. 나는 현재 구조조정을 하고 있는 상태다.
  2. 절박한 문화 유지 – 7월 말 회사가 망한 상태이기 때문에, 우리 회사는 더 이상 현금보상으로 비용을 쓰지 않는다. 연봉 협상은 박하게 할거다. 사실 안할 수도 있다. 이 절박한 회사 안에서는 보상을 받으려면 고성과를 내야하고 보상은 무조건 지분이다. 고성과를 내지 않으면 지금의 현금보상(연봉)에 만족하면서 다녀야 한다.
  3. 절박한 회사 유지 – 모든 판단은 ‘효율성’에 맡긴다. 회사의 최소 생존 자금을 제외한 모든 자금은 성장에 투입한다. 쌓이는 현금들은 기존 구성원들의 연봉을 올려주는 게 아니라 사무실을 확장하고 추가 인원을 뽑는다.
  4. 절박한 제품 유지 – 회사에서 광고주의 성과를 내주지 않으면 회사는 바로 망한다. 모든 직원들의 퍼포먼스 측정은 광고주의 성과에 기반한다. 그리고 고성과를 유지하는 직원에게는 주식으로 보상한다.
  5. 절박한 대표 유지 – 주머니를 항상 비워놓는다. 받은 월급은 직원들의 사기를 올려주기 위해 간식을 한번이라도 더 사고, 내가 계속 달릴 수 있게 건강한 체력을 유지하는 운동(헬스, 자전거, 테니스 등)에 투자한다. 이전에도 그랬고 앞으로도 그렇고, 내 구주를 팔아 현금을 마련하거나, 자동차를 사거나, 비싼 옷을 사거나 이런 일은 없을거다. 이게 깨지는 순간 나의 절박함이 망가질거다.
보상을 받으려면 고성과를 내야하고, 고성과의 보상은 무조건 주식이다.

사무실에서, 집(광인회관)에서, 카톡에서, 페이스북에서, 인스타에서, 링크드인에서, 매일 외친다. 달려달려~ 달려달려맨~!

세상은 꿈꾸는 자의 것. 용기를 내 넌 할 수 있어. 마야크루 모든 팀원들은 고성과를 낼 역량을 갖추고 있고, 고성과를 달성하면, 주식 보상을 받고, 3달 뒤에 10배 성장해서 천만원 받은 게 1억되고, 10배 성장 더해서 1억이 10억되고. 이 구조를 만들 수 있다고 확신한다.

내가 매일 달려달려를 외치는 이유다.

One thought on “내가 매일 달려달려를 외치는 이유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를 발행하지 않을 것입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